본문 바로가기
* 경제 정보 */세금·연말정산

돌아가신 부모님 집 팔 때 상속세 피하는 방법

by 몸짱 곰돌이 정 2025. 5. 12.
반응형

할아버지 사망 후 남은 시골집을 자식 명의로 돌리고 매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상속세, 증여세 문제와 형제 간 돈 이체 시 세금 이슈까지 실사례로 풀어드립니다.


사망한 할아버지 집, 팔려고 하니 증여하라 한다?

갑작스레 돌아가신 할아버지.
남겨진 시골집은 여전히 할아버지 명의로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집을 팔려고 하니 복잡한 문제가 생겼습니다.

집을 매도하려면 누군가의 명의로 바꿔야 하고,
그러려면 ‘증여’를 거쳐야 한다는 겁니다.

 

여기서 세금 문제가 시작됩니다.


시골집 처분 상속세 질문
시골집 처분 상속세 질문

상속이냐 증여냐, 여기서 갈린다

시골집이 할아버지 명의로 되어 있다면
그 재산은 ‘상속’ 대상입니다.

 

자식 6명이 공동 상속인일 경우,
각자 1/6 지분을 상속받게 됩니다.

 

하지만 이 집을 팔려면
1명의 명의로 일단 정리해야 하죠.

✅ 이때 두 가지 절차가 필요합니다

  1. 상속등기 : 자식 6명에게 공동으로 이전
  2. 명의 정리 : 6명 중 1명에게 단독 명의 이전

이 두 단계 중 두 번째에서 ‘증여세’ 문제가 발생합니다.


형제 한 명에게 몰아주면 증여세?

반응형

 

6명의 자식 중 1명에게 명의를 넘기면,
나머지 5명이 해당 1명에게 자신들의 지분을 증여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 이 과정은 엄연한 ‘증여’입니다.

따라서 명의 이전을 위해 5명이 1명에게
지분을 넘기면 각자에게 증여세 과세 가능성이 생깁니다.

 

증여세는 1인당 1천만 원 이상 증여 시 과세 대상입니다.
(직계존비속은 5천만 원, 형제자매는 1천만 원)

2025.05.08 - [* 상속,증여 정보의 모든 것 *] - 40년 된 지방 빌라, 증여세와 취득세 얼마 나올까

 

40년 된 지방 빌라, 증여세와 취득세 얼마 나올까

노모 명의 40년 된 빌라를 세 딸에게 공동 명의로 이전하면 어떤 세금이 나올까요? 기준시가 7천만 원 이하의 지방 빌라 증여에 따른 증여세, 취득세, 지역 건강보험료 상승 여부를 구체적으로 안

aa.it4989.co.kr

 


상속과 증여 어떻게 다를까
상속과 증여 어떻게 다를까

명의자에게 돈을 보냈다면? 이것도 증여일까

집 명의를 1명에게 몰아준 뒤
나머지 형제가 그 1명에게 1억 원 정도 이체한 상황.

 

이 돈이 집 매도 대금의 배분 목적이라는 것이
분명하게 입증된다면 ‘증여’가 아닌 ‘대가’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 송금만 있을 경우,
세무서는 ‘증여’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포인트

  • 금전거래 증빙서류(각서, 계약서 등)
  • 계좌이체 내역, 메모 등 명확한 출처
    이런 것들이 꼭 있어야 과세당국에 설명할 수 있습니다.

세금 없이 명의 정리하는 방법은 없을까?

반응형

증여세 없이 집을 팔기 위한 합리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실천 가능한 방법 정리

  1. 공동 상속등기 후 공동명의 매도
    • 6명 공동으로 팔고, 매도 대금은 비율대로 나눔
    • 세금 거의 없음, 절차는 다소 복잡
  2. 공동명의에서 한 명에게 매도 형태로 명의 변경
    • 매매계약서 작성, 잔금 이체, 세금 신고
    • ‘거래’로 인정되면 증여세 아님
    • 단, 증빙자료 철저히 준비 필요
  3. 상속포기 전략(특정인 단독 상속)
    • 상속개시일 3개월 내, 나머지 5명이 포기
    • 1명이 단독 상속자로 등기 후 매도 가능
    • 상속세는 단독 상속자가 부담

2025.05.10 - [* 상속,증여 정보의 모든 것 *] - 부모님께 1억 빌리고 월 100 갚을 때 증여세 문제 정리

 

부모님께 1억 빌리고 월 100 갚을 때 증여세 문제 정리

부모님께 1억 빌리고 월 100 갚으면 생기는 증여세 문제,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차용인지 증여인지 헷갈린다면 지금 이 글에서 기준과 해결 방법을 확인해보세요.가족 간 돈거래, 그냥 하면

aa.it4989.co.kr

 


세금 없이 명의 정리하는 방법
세금 없이 명의 정리하는 방법

상속세 증여세 많이 하는 질문들

상속등기를 안 하면 집을 팔 수 없나요?

네. 상속등기를 마쳐야만 법적으로 매도 가능합니다.

형제끼리 돈을 주고받으면 무조건 증여세인가요?

1천만 원 이상이면 증여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집을 판 뒤 돈을 나눠줘도 증여세 나오나요?

거래 목적과 금액 비율이 명확하면 증여세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상속세와 증여세는 둘 다 내야 하나요?

경우에 따라 하나만 낼 수도 있고, 둘 다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증여세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증여보다는 매매로 명의 이전을 하거나, 상속분 비율을 유지하면 절세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증빙과 명확한 절차

집을 팔려면 상속등기부터 해야 합니다.
명의 이전 시 ‘증여’가 되지 않도록 매매형식과 서류를 꼼꼼히 준비해야 합니다.
형제 간 돈 이체는 특히 증빙이 핵심입니다.

 

2025.05.11 - [* 상속,증여 정보의 모든 것 *] - 부모님이 집 사주면 증여세 낼까? 결혼자금 세금 기준 알아보기

 

부모님이 집 사주면 증여세 낼까? 결혼자금 세금 기준 알아보기

결혼하면서 부모님이 집 살 돈을 주셨다면 증여세 대상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1억 5천만 원 같은 큰 금액이라면 더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칫하면 몇 년이 지나 세무조사로 추징

aa.it4989.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