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경제 정보 */세금·연말정산

부모와 공동명의 주택, 증여세 신고 안 하면 생기는 일

by 몸짱 곰돌이 정 2025. 5. 12.
반응형

아버지와 공동명의로 집을 구입했는데 증여세 신고를 안 했다면? 추가 증여까지 포함해 어떻게 정리해야 하는지 현실적인 방법을 설명합니다.


공동명의로 받은 집, 증여세 신고 안 했을 때 벌어지는 일

7억짜리 집을 아버지와 공동명의로 등기했습니다.
당시 증여된 금액은 3억5천만 원. 신고는 누락됐습니다.

 

그 후, 24년 11월에 5,200만 원을 추가로 증여받았습니다.
이 금액은 10년 전 어머니 사망 시 받은 1억5천만 원과 함께
총 2억5200만 원으로 세무사를 통해 증여세 신고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그보다 앞선 3억5천만 원의 미신고입니다.


증여세 신고 방법 및 가산세 질문
증여세 신고 방법 및 가산세 질문

증여세 신고 누락 시, 꼭 알아야 할 세 가지

증여세는 받는 사람이 3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미신고 시 신고불성실 가산세, 납부불성실 가산세가 붙습니다.


추가로 잘못 신고한 경우엔 과소신고 가산세도 부과됩니다.

다음 3가지를 구분해서 접근해야 합니다.

2025.05.11 - [* 상속,증여 정보의 모든 것 *] - 부모님이 집 사주면 증여세 낼까? 결혼자금 세금 기준 알아보기

 

부모님이 집 사주면 증여세 낼까? 결혼자금 세금 기준 알아보기

결혼하면서 부모님이 집 살 돈을 주셨다면 증여세 대상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특히 1억 5천만 원 같은 큰 금액이라면 더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칫하면 몇 년이 지나 세무조사로 추징

aa.it4989.co.kr

 


1. 미신고된 증여: 공동명의 주택 3억5천만 원

  • 신고 기한: 24년 6월 기준 → 신고 기한은 24년 9월 말
  • 신고 누락: 현재(25년 5월 기준) 8개월 이상 경과
  • 가산세 적용:
    • 신고불성실 가산세: 기본세액의 20%
    • 납부불성실 가산세: 매월 0.025% (연 3%)
    • 산출세액: 3억5천만 원 × 20% = 7,000만 원 (단순 계산)

예상 세액 (단순예시)
① 증여세: 7,000만 원
② 신고불성실 가산세: 1,400만 원
③ 납부불성실 가산세: 약 140만 원 이상


2. 이미 신고된 2억5,200만 원, 수정 필요할까?

반응형

 

  • 이미 세무사를 통해 신고 및 납부 완료됨
  • 수정신고가 아닌 별도 신고가 필요함
  • 기존 신고 내역은 문제없고, 수정할 필요 없음

주의: 전체 증여금액은 10년 내 5억5천2백만 원이지만
과세 기준은 증여 시점별로 개별 과세합니다.

2025.05.08 - [* 상속,증여 정보의 모든 것 *] - 증여세 공제 한도 활용한 절세 방법, 가족 증여는 이렇게

 

증여세 공제 한도 활용한 절세 방법, 가족 증여는 이렇게

장인어른에게 경제적 지원을 하려는 경우, 증여세를 피하면서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실제로 존재할까요? 증여 공제 한도를 활용한 절세 전략, 지금부터 정확하게 짚어드립니다.장인어른에게

aa.it4989.co.kr

 


3. 신고 순서와 방법

📌 1단계 – 기한 후 신고(또는 수정신고) 진행
→ 누락된 3억5천만 원에 대해
→ 증여일로부터 6개월 이내라면 기한 후 신고 가능

 

📌 2단계 – 가산세 계산 및 자진 납부
→ 가산세는 시스템이 자동으로 계산되지만
→ 본인이 예상 세액을 따로 계산해 보는 것이 유리

 

📌 3단계 – 홈택스 or 세무사 의뢰
→ 홈택스에선 ‘기한 후 신고’ 메뉴 이용
→ 복잡하면 세무사에게 위임


증여세 미신고 어떤 일이 벌어질까?
증여세 미신고 어떤 일이 벌어질까?

증여세 가산세 계산, 이렇게 정리하세요

항목금액비고

 

증여세 7,000만 원 3억5천만 원 × 20%
신고불성실 가산세 1,400만 원 세액 × 20%
납부불성실 가산세 약 140만 원 약 8개월 경과 기준
총 납부액 약 8,540만 원 단순 예시
 

증여세 신고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반응형

증여세 신고 기한은 언제까지인가요?

→ 증여일로부터 3개월 이내입니다.

부모와 공동명의로 집을 샀는데 증여세 대상인가요?

→ 실질 부담이 없는 금액은 증여로 간주됩니다.

10년 내 합산은 언제 적용되나요?

→ 동일인 간 증여는 10년간 합산해 누진세율을 적용합니다.

한 번 신고한 내용도 수정 가능한가요?

→ 일부 오류라면 수정신고로 가능합니다.

세무사 없이 직접 신고해도 되나요?

→ 가능하지만 누락·실수 시 가산세 위험이 큽니다.


7억 주택 공동명의 증여세 계산
7억 주택 공동명의 증여세 계산

부모 자산 이전 시, 증여세 신고는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공동명의라도 자금출처가 명확하지 않으면 증여로 간주됩니다.
신고를 놓치면 가산세까지 포함해 큰 금액을 부담하게 됩니다.
특히 10년 내 증여금액이 클수록 더 엄격히 관리됩니다.

2025.05.12 - [* 상속,증여 정보의 모든 것 *] - 상속세 인적공제 기준 총정리: 거주자·비거주자 세액 차이

 

상속세 인적공제 기준 총정리: 거주자·비거주자 세액 차이

현행 상속세에서 인적공제는 거주자와 비거주자 여부에 따라 큰 차이가 나며, 유산취득세라는 표현도 실제 제도와는 다릅니다. 실무에서 자주 발생하는 오해와 그에 따른 과세 영향을 사례 중

aa.it4989.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