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활 정보 *

무김치 3종 깍두기·석박지·총각김치, 이 차이 몰랐다면 꼭 읽어보세요

by 몸짱 곰돌이 정 2025. 4. 26.
반응형

무김치 하면 떠오르는 대표 김치 3종, 깍두기, 석박지, 총각김치의 차이점부터 유래, 맛까지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무김치인데 왜 이름이 달라? 생긴 것도 맛도 비슷한데?

국밥집에서 만난 김치, 깍두기인 줄 알았는데 ‘석박지’라고 써 있는 순간.
뭐가 다른 거지? 이름만 다르고 다 같은 김치 아냐?

 

실제로 많은 분들이 헷갈립니다.


모양도 비슷하고 맛도 비슷하니까요.

하지만 조리법, 재료, 이름의 유래까지 따져보면 셋은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석박지 깍두기 총각김치 차이 질문 지식인
석박지 깍두기 총각김치 차이 질문 지식인

깍두기, 석박지, 총각김치의 차이 쉽게 비교

3가지 김치의 핵심 차이만 간단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깍두기

  • 네모 반듯하게 썰어 만든 무김치
  • 무만 주재료
  • 저장성이 뛰어나 사계절 김치로 활용
  • 국밥, 백반집 단골 메뉴

2. 석박지

  • 불규칙하게 썬 무에 배추나 다른 부재료 섞임
  • 원래는 굴, 낙지 등도 넣는 김치
  • 그때그때 먹는 맛김치 성격
  • 모양이 자유로운 게 특징

3. 총각김치

  • 줄기 달린 어린 무를 통째로 절여 만든 김치
  • 씹는 맛이 강하고 무청 특유의 향이 있음
  • 물김치처럼 국물이 많고 시원한 느낌

석박지, 왜 그렇게 불리는 걸까?

반응형

‘석박지’라는 이름은 생소하지만 유래를 알고 보면 흥미롭습니다.

한 설에는 **“섞었다+박았다(절였다)”**는 의미에서 비롯되었다고 해요.


북한 일부 지역에서는 섞은 김치를 ‘석박지’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습니다.

 

즉, 무만 있는 게 아니라 배추, 해산물, 채소 등을 섞은 김치라는 뜻에서 나온 이름입니다.

그래서 석박지는 기본적으로 혼합김치에 가까운 개념이었죠.


깍두기 네모난 무김치의 정석
깍두기 네모난 무김치의 정석

깍두기와 석박지, 맛이 왜 비슷하게 느껴질까?

요즘 석박지는 옛날 전통 석박지와는 많이 다릅니다.
배추, 굴, 낙지 안 들어가고 무만 넣고 만든 경우도 많거든요.

 

그냥 깍두기처럼 보이지만 모양이 각지지 않고 크기와 형태가 들쭉날쭉하면 석박지로 부르기도 해요.

 

국밥집 석박지 대부분이 바로 이 스타일입니다.
맛도 사실상 깍두기와 유사할 수밖에 없죠.


깍두기와 석박지, 가장 큰 차이는 ‘이것’

반응형

재료의 구성
전통 석박지는 다양한 부재료가 들어갑니다.
깍두기는 무 하나로 승부합니다.

 

모양
깍두기는 정사각형 모양.
석박지는 자유분방하게 썰어요.

 

보관 기간
깍두기는 오래 저장.
석박지는 금방 먹는 ‘단기 소비 김치’입니다.


총각김치 통째로 즐기는 어린 무
총각김치 통째로 즐기는 어린 무

총각김치는 왜 총각김치일까?

총각김치는 ‘알타리무’를 통째로 절여 만든 김치입니다.
무의 크기가 작고 가늘어 총각무라고도 부르죠.

 

잎이 풍성하고, 무도 작아 담그는 방식이 깍두기나 석박지와는 완전히 달라요.
씹는 맛이 살아 있고, 잎 부분 특유의 구수함이 좋아서 좋아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깍두기 석박지 총각김치 차이에 대한 많이 하는 질문들

깍두기와 석박지는 같은 재료로 만드나요?
기본 재료는 같지만 석박지는 다른 부재료가 섞입니다.

 

석박지는 오래 보관할 수 있나요?
전통적으로는 오래 보관하지 않고 금방 먹습니다.

 

총각김치는 무만 사용하는가요?
무와 무청(잎)까지 통째로 사용합니다.

 

석박지는 국밥에 잘 어울리나요?
깍두기와 비슷한 맛이라 국밥과도 잘 어울립니다.

 

석박지는 꼭 배추가 들어가야 하나요?
요즘은 배추 없이 만드는 석박지도 많습니다.


깍두기와 석박지, 같아 보여도 다릅니다

무의 형태, 재료의 다양성, 보관 방식이 모두 다릅니다.
겉으로는 비슷해 보여도 속은 전혀 다른 김치입니다.
입맛 따라 골라 먹는 재미도 느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