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설전류 측정 시 3상 4선식에서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과 중성선 포함 여부에 대한 혼란을 해결해주는 글입니다. 실무에서 실수 없이 누설전류 측정하는 법을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누설전류 측정, 헷갈리는 그 순간
전기 실무자라면 한 번쯤 경험했을 겁니다.
누설전류 측정할 때 ‘3가닥만 물려도 되나?’ 싶은 그 찝찝한 느낌.
현장에서 실제로 많이 헷갈려합니다.
단상은 간단하게 2가닥 측정이지만, 3상 4선식은 다릅니다.
N선(중성선)을 뺄 경우, 잘못된 수치가 나올 수 있습니다.
3상 4선식 누설전류 측정은 왜 4가닥 모두여야 하나?
정답부터 말하면 RST + N, 총 4가닥을 모두 클램프에 넣어야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누설전류는 ‘총 전류의 벡터합’을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중성선까지 포함해야 정확한 합이 0이 되며,
이를 벗어난 값이 있다면 그게 바로 누설전류입니다.
▶ 단상은 2가닥 모두
▶ 3상 4선식은 4가닥 모두
이렇게 기억하시면 실수 없습니다.
이런 방식은 안 됩니다
✔ 380V 3가닥(RST)만 클램프에 넣기
→ ❌ 중성선의 흐름이 제외되어 누설전류가 왜곡됩니다.
✔ 부하 한쪽 선만 물리기
→ ❌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습니다.
✔ 케이블 일부만 감아서 누설전류 판단하기
→ ❌ 기준이 되지 않습니다. 측정은 ‘전체 흐름’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실전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 모든 케이블이 한 곳에서 나오는 위치를 찾습니다.
예: 분전함 내부, 트렁킹 정리 부분 등 - RST + N 4가닥을 클램프 메터에 넣습니다.
선이 분리돼 있다면 케이블타이로 묶은 후 측정하세요. - 측정값이 0에 가까우면 정상입니다.
일정 수치 이상이면 절연불량, 누전 가능성 있습니다. - 기기 전원이 꺼졌을 때도 측정해보세요.
상시 누설 여부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누설전류 측정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3상 3선식에서는 몇 가닥 측정해야 하나요?
→ RST 3가닥만 측정합니다.
누설전류 측정기는 어떤 걸 써야 하나요?
→ 전용 클램프 메터(AC mA 측정 가능) 사용하세요.
정상 누설전류 수치는 얼마인가요?
→ 일반적으로 1mA 이내면 정상입니다.
측정 중 차단기 내려야 하나요?
→ 아니요, 실시간 흐름을 보기 위해 전원은 켠 상태로 측정합니다.
단상 누설전류도 같은 방식인가요?
→ 네, 두 선 모두 클램프에 넣고 측정해야 정확합니다.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정리
3상 4선식 누설전류는 4가닥(RST + N)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중성선 포함은 필수
일부 선만 측정하면 절대 안 됩니다
'* 생활 정보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김치 3종 깍두기·석박지·총각김치, 이 차이 몰랐다면 꼭 읽어보세요 (1) | 2025.04.26 |
---|---|
반지 호수 재는 법, 집에서도 정확하게 측정하는 현실 꿀팁 (1) | 2025.04.26 |
반차는 단순 4시간이 아니다? 정확한 퇴근 시간 계산법 (0) | 2025.04.24 |
GS 편의점 반값택배 보내는 순서, 쉽게 이해되는 꿀팁정리 (0) | 2025.04.24 |
지도로는 안 나오는 한남→반포대교 한강 걷기 루트 (0) | 2025.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