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생활 정보 *

3상 전기 누설전류 측정법, 중성선 빼면 큰일 납니다

by 몸짱 곰돌이 정 2025. 4. 25.
반응형

누설전류 측정 시 3상 4선식에서 정확하게 측정하는 방법과 중성선 포함 여부에 대한 혼란을 해결해주는 글입니다. 실무에서 실수 없이 누설전류 측정하는 법을 명확하게 설명합니다.


누설전류 측정, 헷갈리는 그 순간

전기 실무자라면 한 번쯤 경험했을 겁니다.
누설전류 측정할 때 ‘3가닥만 물려도 되나?’ 싶은 그 찝찝한 느낌.

 

현장에서 실제로 많이 헷갈려합니다.
단상은 간단하게 2가닥 측정이지만, 3상 4선식은 다릅니다.


N선(중성선)을 뺄 경우, 잘못된 수치가 나올 수 있습니다.


누설전류 측정 질문 지식인
누설전류 측정 질문 지식인

3상 4선식 누설전류 측정은 왜 4가닥 모두여야 하나?

정답부터 말하면 RST + N, 총 4가닥을 모두 클램프에 넣어야 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누설전류는 ‘총 전류의 벡터합’을 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중성선까지 포함해야 정확한 합이 0이 되며,
이를 벗어난 값이 있다면 그게 바로 누설전류입니다.

 

단상은 2가닥 모두
3상 4선식은 4가닥 모두


이렇게 기억하시면 실수 없습니다.


누설전류 측정의 기본 원리
누설전류 측정의 기본 원리

이런 방식은 안 됩니다

✔ 380V 3가닥(RST)만 클램프에 넣기
→ ❌ 중성선의 흐름이 제외되어 누설전류가 왜곡됩니다.

 

✔ 부하 한쪽 선만 물리기
→ ❌ 전류가 흐르는 방향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습니다.

 

✔ 케이블 일부만 감아서 누설전류 판단하기
→ ❌ 기준이 되지 않습니다. 측정은 ‘전체 흐름’ 기준으로 해야 합니다.


실전에서는 이렇게 하세요

반응형
  1. 모든 케이블이 한 곳에서 나오는 위치를 찾습니다.
    예: 분전함 내부, 트렁킹 정리 부분 등
  2. RST + N 4가닥을 클램프 메터에 넣습니다.
    선이 분리돼 있다면 케이블타이로 묶은 후 측정하세요.
  3. 측정값이 0에 가까우면 정상입니다.
    일정 수치 이상이면 절연불량, 누전 가능성 있습니다.
  4. 기기 전원이 꺼졌을 때도 측정해보세요.
    상시 누설 여부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측정 방법
잘못된 측정 방법

누설전류 측정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3상 3선식에서는 몇 가닥 측정해야 하나요?
→ RST 3가닥만 측정합니다.

 

누설전류 측정기는 어떤 걸 써야 하나요?
→ 전용 클램프 메터(AC mA 측정 가능) 사용하세요.

 

정상 누설전류 수치는 얼마인가요?
→ 일반적으로 1mA 이내면 정상입니다.

 

측정 중 차단기 내려야 하나요?
→ 아니요, 실시간 흐름을 보기 위해 전원은 켠 상태로 측정합니다.

 

단상 누설전류도 같은 방식인가요?
→ 네, 두 선 모두 클램프에 넣고 측정해야 정확합니다.


꼭 기억해야 할 핵심 정리

3상 4선식 누설전류는 4가닥(RST + N)
정확한 측정을 위해선 중성선 포함은 필수
일부 선만 측정하면 절대 안 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