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상속,증여 정보의 모든 것 *

근로계약과 다른 유연근무 강요, 퇴사하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by 몸짱 곰돌이 정 2025. 4. 25.
반응형

9시~18시로 계약했는데 회사가 일방적으로 유연근무를 강요한다면? 퇴사 시 실업급여 수급 가능성과 대응 방법을 확실하게 정리했습니다.


계약한 근무시간과 다른 요구, 참아야 할까요?

"오늘은 9시~20시, 내일은 9시~16시로 바꿔야겠어."
갑자기 바뀐 근무 시간표를 보고 당황한 A씨.


하지만 근로계약서에는 분명히 '09:00~18:00'로 명시돼 있었죠.

 

이처럼 원래 약속된 근무시간을 무시하고 유연근무를 강요받는다면,
그건 단순한 사내 정책 변경이 아닙니다.


법적 위반이 될 수 있는 문제입니다.


유연근무제 강요 질문 지식인
유연근무제 강요 질문 지식인

유연근무 강요가 실업급여 사유가 되는 이유

  1. 근로계약은 법적 효력 있는 문서입니다.
    사용자가 일방적으로 계약 내용을 바꿀 수 없습니다.
  2. 근로기준법 제93조 위반
    회사가 동의 없이 일방적으로 근무시간을 변경했다면 위법입니다.
  3. 실업급여 정당한 이직 사유
    고용보험법상 '근로조건이 채용 당시와 다를 경우' 수급 자격 인정됩니다.

실업급여 받기 위한 조건 3가지

반응형

1. 근로계약서 확인
9시~18시 명시돼 있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2. 유연근무 강요 증거 확보
문자, 이메일, 사내 공지 등 변경을 강요한 기록을 수집합니다.

 

3. 이의 제기 후 퇴사
회사에 정식으로 이의를 제기하고, 그 문서를 보관하세요.


유연근무 강요는 법적 위반 입니다
유연근무 강요는 법적 위반 입니다

이럴 땐 노동청 진정도 고려해보세요

회사가 계속해서 유연근무를 강제하고 있다면,
단순히 퇴사만 고민할 게 아니라 노동청에 진정을 넣을 수 있습니다.

 

진정 접수 방법은 간단합니다.


고용노동부 홈페이지(https://www.moel.go.kr)에서 민원 신청이 가능합니다.
필요 시 상담도 가능합니다.


계약과 다른 근무형태, 그대로 두면 생기는 문제들

반응형
  • 업무 시간 증가로 인한 초과 근무가 생기지만
    회사는 수당 없이 유연근무라며 무마하려 합니다.
  •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심리적 피로가 쌓이게 됩니다.
  • 퇴사 시 불이익을 받을까 봐 참고 다니는 경우가 많지만,
    그럴 필요 없습니다.

퇴사 전 실무 꿀팁
퇴사 전 실무 꿀팁

퇴사 전 실무 꿀팁

  • 사직서는 반드시 자필로 쓰고,
    퇴사 사유에 ‘계약과 다른 유연근무 강요’라고 명시합니다.
  • 회사와 주고받은 문서와 대화 기록은 스크린샷, 출력 등으로 보관하세요.
  • 고용센터 실업급여 신청 시, 계약서와 증거자료 제출
    수급 심사에서 유리한 근거가 됩니다.

유연근무 강요 관련 많이 하는 질문들

유연근무가 의무인가요?
→ 근로자의 동의 없이는 의무가 아닙니다.

 

회사에서 일방적으로 근무시간을 바꿀 수 있나요?
→ 법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이유가 유연근무 강요면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 조건 충족 시 가능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퇴사하면 불이익 있나요?
→ 정당한 사유면 불이익 없습니다.

 

노동청에 진정하면 회사에 불이익이 있나요?
→ 법 위반이 명확하다면 행정처분 대상이 됩니다.


핵심은 계약된 근로시간 준수입니다

근로계약은 법적으로 지켜야 할 약속입니다.
근로시간 변경을 강요당했다면 정당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실업급여도 충분히 받을 수 있으니, 증거를 잘 챙기세요.

반응형